2025.09.11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경남

진주시, 공공하수처리 선제적 행정 ‘주목’

‘물관리는 곧 하수관리다’ 정책 슬로건 설정

 

브릿지저널 김경미 기자 | 진주시는 생활하수와 오수를 신속히 처리해 악취와 위생문제를 해소하는 한편 쾌적한 도시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적재적소의 예산 투입과 선제적 대응으로 공공하수처리 정책을 비약적으로 발전시키고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진주시 하수도 정책은 ‘물관리는 곧 하수관리다’라는 슬로건 아래 선제적으로 대응한다는 것이 핵심이다.

 

민선 7, 8기를 거치면서 공공하수처리 관리에 2500억 원이 넘는 예산을 적극적으로 투입해 노후 하수관로 정비와 하수처리시설 확충 등으로 공공수역 수질개선과 시민들의 생활환경 개선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특히 민선 7, 8기에는 도시의 필수 기반시설인 하수처리장 증설과 하수관로 정비에 더욱 박차를 가해 1423억 원의 사업비를 들여 총 135㎞의 하수관로 정비와 함께 ‘대곡공공하수처리시설’을 증설하는 등 괄목할만한 실적을 쌓았다.

 

무엇보다 지난 민선 6기에는 193억원의 예산으로 40㎞의 하수시설을 정비한 반면, 민선 7, 8기에는 적극적인 예산 투입으로 하천수질 관리에 대처한 것이 눈에 띈다.

 

▲노후 하수관로 정비, 지반침하 대비 선제적 행정 돋봬

 

진주시는 관내 전역에 대한 노후 하수관로 정비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정밀조사 결과 파손 등 결함이 많은 하수관로를 우선 교체 또는 개보수해 하수의 차집률을 높이고 지반침하를 사전에 예방하는 행정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노후 하수관로 정비사업은 1차 사업으로 지난 2020년부터 289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올해 12월 준공을 목표로 10.8㎞의 하수관로를 정비해 나가고 있으며, 2차는 지난 2023년부터 오는 2026년까지 288억 원을 들여 21.2㎞의 하수관로를 정비하고 있다.

 

특히 상평산업단지 폐수관로 노후에 따른 잦은 지반침하로 정비가 시급한 상황에서 환경부와 적극적인 업무 협의를 통해 국비 70%를 확보하는 등 모두 432억 원의 사업비로 지난 2023년 실시 설계를 거쳐 오는 2026년 3월 준공을 목표로 현재 약 75.5%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다.

 

또한 지난 7월 17부터 20일까지 내린 집중호우로 지반 침하가 우려되는 대신로 구간(한빛요양원 ~ 폐수중계펌프장 6차로)에 ‘지표투과 레이더(GPR)’를 활용한 조사를 실시해 3곳에서 경미한 지반침하를 발견하고 긴급 보수에 나서는 등 지반침하에 대비한 선제적 행정이 돋보이고 있다.

 

진주시는 앞으로도 공공하수관로에 대한 주기적인 기술진단을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관로 시설개선 방안을 체계적으로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외곽⦁농촌마을 등 하수처리구역 확대 최선

 

진주시는 공공하수관로 정비와 함께 도심 외곽지역이나 농촌 자연마을 등 생활하수가 차집되지 않는 지역을 하수처리구역으로 확대하는 사업도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등 공공하수 처리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대곡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은 지난 2019년부터 283억 원을 들여 1일 하수처리량을 기존 1900㎥에서 2850㎥으로 늘리는 한편 지난 2024년 6월에는 관로정비 17.4㎞, 배수설비 593곳을 완료해 그동안 대곡교도소의 생활하수 문제를 원활하게 해결한 바 있다.

 

특히 지난 2020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초전동 외 8개 지구 하수관로 정비사업이 생활하수가 공공하수처리시설로 유입되도록 하는 공사로 관심을 모은다.

 

이 사업은 상대동 외 4개동 일부지역과 내동면 외 4개면 일부지역에 대해 283억 원을 들여 관로정비 26.1㎞, 배수설비 784곳을 설치하는 공사로 오는 2026년 9월 준공을 목표로 현재 66%의 공정률을 기록하고 있다.

 

그리고 진양호 상수원보호구역과 연접한 수곡면 원내리와 원외리 일대에는 지난 2023년부터 83억 원의 사업비를 들여 ‘서촌 소규모 공공하수처리시설’ 설치사업을 차질 없이 진행하고 있다.

 

1일 60㎥의 처리시설 신설해 2026년 9월 준공을 목표로 현재 공정률 9%를 보이고 있는 이 사업은 생활하수의 완벽한 처리로 진양호 상수원수 수질 보전에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또한 지난 2022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강주 소규모 공공하수시설’ 증설사업은 정촌면 예하리 일원에 67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오는 2026년 9월 준공을 목표로 사업이 한창이다.

 

이 사업이 완료되면 기존 1일 처리량을 110㎥에서 160㎥으로 늘려 이 일대 하수처리구역 확대와 처리효율 향상으로 방류 수질을 개선해 주민생활 불편을 해소해 나갈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문산읍 옥산⦁두산리 일원에 99억원의 사업비로 오는 2027년까지 관로 정비 6.24㎞, 배수설비 195곳을 설치하는 공사를 시행해 이 지역의 하천 수질개선으로 주민 생활환경뿐만 아니라 남강의 수질개선에도 획기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 밖에도 일⦁이반성면과 사봉면 일원에도 ‘사봉지역 하수관로 정비사업’으로 오는 2028년까지 385억 원의 사업비를 들여 악취 발생이 많은 지역 하수관로를 분류식 관로로 전환하는 등 관로정비 23.3㎞, 배부설비 1188곳을 설치해 농촌 자연마을의 생활하수도 깨끗하게 처리해 나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주기적 기술진단, 위탁관리 등 지속 관리 전문성 강화

 

공공하수처리시설에 대한 기술진단과 악취 기술진단도 주기적으로 시행해 하수처리시설의 성능유지와 악취발생을 저감하는 사업 시행 등으로 일상생활 속에서 하수 악취로 인한 생활불편 해소를 위해 적극 대처해 나아가고 있다.

 

진주시는 공공하수처리시설의 효율적인 관리를 도모하고자 올해부터 진주시설관리공단에 하수슬러지 처리(탄화)를 위탁 관리한 것을 비롯해 지난 7월부터는 진성공공하수처리시설과 읍면동 소규모공공하수처리시설 38곳도 관리를 맡겼다.

 

내년부터는 진주공공하수처리시설과 문산⦁사봉⦁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도 전면 위탁해 공공하수처리시설의 관리에 전문성을 더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하수관리를 위해서는 행정적 성과뿐 아니라 시민들의 협조와 참여가 수질 개선의 핵심 동력이다”면서 “무엇보다 기름과 음식물 쓰레기, 물티슈 하수구 투기 금지와 세제사용 절감운동, 정화조 관리철저, 환경단체와 학교, 기업과 협력한 수질 모니터링 활동 등 생활 속에서 시민 참여활동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