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릿지저널 윤나영 기자 | 해운대구는 청년들이 맘껏 꿈을 펼치는 청년 중심도시 해운대 만들기에 속도를 내고 있다.
청년정책 5개년 기본계획(2023~2027)에 따라 생애주기별 60개 정책을 착착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해운대 청년공간이음 협의체’를 구성했다.
협의체에는 부산창업가꿈 해운대, 해운대 청년채움공간, 해운대 청년 잡(Job) 카페가 참여하며, 관계자들은 정기적으로 만나 청년정책 활성화에 머리를 맞댈 예정이다.
해운대 살며 일하고픈 청년 취․창업 지원
올해 2월 기준 해운대구의 19~34세 청년인구는 6만 1천500여 명으로 부산 16개 구·군 중 두 번째로 많다. 구 전체 인구 대비 청년 비율은 16.4%로, 2021년 18.1%에서 매년 낮아지고 있다. 청년들이 부산을 떠나는 주된 원인으로 일자리가 꼽히는 만큼 구는 취․창업 지원 등 청년들의 삶의 질 향상과 성장 지원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미취업 청년은 일자리 찾도록, 신입직원은 직장 적응 잘하도록
해운대구는 올해 고용노동부 공모사업인 ‘청년 성장 프로젝트(청년 잡(Job) 카페)’와‘직장 적응 지원사업’에 선정돼 국비 3억 7천600만 원을 확보했다.
해운대기술교육원(반여로120) 1층에 자리한 ‘청년 잡(Job) 카페’는 미취업 청년의 구직을 돕는 곳이다. 자기소개서 작성법과 면접 요령을 안내하고 일대일 취업 상담도 한다. 15세 이상 39세 이하 청년 누구나 무료 이용할 수 있다.
‘직장 적응 지원사업’은 입사 초기 어려움을 겪는 신입직원의 직장 적응과 조기 퇴사 예방을 위한 사업이다. 관내 기업의 신입직원과 관리자 200명을 대상으로 함께 어울려 일하기 좋은 직장문화 교육을 실시한다. 청년채움공간(재송동 339-3)에서 오는 10월까지 ‘MZ세대 신입사원 이해와 공감’, ‘비즈니스 매너 및 직장예절’ 등 10개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취준생엔 준비 비용을, 창업자엔 임차료를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시험응시료, 학원 수강료, 면접 비용 등 취업 전반에 드는 비용을 1인 30만 원까지 지원한다.
청년 창업자에게는 임차료를 지원한다. 창업 초기 6개월 동안 월 20만 원을 지원하며 연간 8천만 원의 구비를 투입한다. 5월 12일에 1차 지원자를 선정하며, 6월에 청년온라인플랫폼 ‘해청이랑’을 통해 2차 지원자를 모집한다.
창업산실 ‘채움공간’, 창업․주거 복합공간 ‘창업가꿈’
지난 2월에는 사무실과 원룸형 주거공간을 함께 제공하는 ‘부산창업가꿈 해운대(윗반송로51번길 36)’을 오픈했다. 글로벌 전자상거래 서비스, 모바일 기반 키패드앱 개발, 모바일 교육 콘텐츠 등 인공지능 분야에 특화된 7개 기업이 입주해 성공을 향해 열심히 달려가고 있다.
지난 2020년 11월에 조성한 ‘해운대 청년채움공간(센텀동로 200)’는 이미 부산의 청년 창업 산실로 자리매김했다. 사무공간뿐 아니라 교육, 컨설팅을 제공해 17개 기업이 최대 3년의 입주기간을 채우고 졸업했다. ㈜나누기월드, 에스에스컴퍼니, 쉘박스를 대표적인 성공기업으로 꼽을 수 있다.
나누기월드는 청년 예술 활성화를 위해 활동하는 비영리단체로 최근에는 몽골, 태국, 베트남 등 해외 유학생들의 국내 정착을 지원하는 교육 앱 ‘츄러스에듀’를 선보이고 있다.
2024년 연 매출 25억 원을 달성한 에스에스컴퍼니는 부산관광상품 개발에 적극 나서고, 부산시 워케이션 민간운영사로 선정되는 등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청년채움공간 1호 입주기업인 쉘박스는 창업 3년 만에 연 매출 3억 원을 달성했다. 청년채움공간을 벗어나 우동종합시장에 새 둥지를 튼 후 남구 대연동에 2호점을 열었다. 건강한 샌드위치 배달전문점인 쉘박스는 200호점까지 오픈하는 것이 목표다.
이 외 해운대구 청년정책 정보는 청년온라인플랫폼 ‘해청이랑’에서 자세히 볼 수 있다.
김성수 구청장은 “청년들이 해운대에서 꿈을 실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