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8 (월)

  • 맑음동두천 15.0℃
  • 구름많음강릉 10.7℃
  • 맑음서울 15.7℃
  • 맑음대전 15.0℃
  • 맑음대구 18.8℃
  • 맑음울산 19.0℃
  • 맑음광주 13.7℃
  • 맑음부산 19.3℃
  • 맑음고창 10.2℃
  • 맑음제주 14.0℃
  • 맑음강화 13.9℃
  • 맑음보은 14.4℃
  • 맑음금산 14.0℃
  • 맑음강진군 ℃
  • 맑음경주시 17.5℃
  • 맑음거제 18.5℃
기상청 제공

서울

용산구, 땅꺼짐 사고 예방 위해 선제 대응 강화

GPR(지표투과 레이터)로 구간 정밀탐사하는 ‘노면 하부 공동조사’ 5월 초 시작, 올해 87㎞ 구간 탐사

 

브릿지저널 김경미 기자 | 서울 용산구는 최근 전국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땅꺼짐(싱크홀) 사고에 대응해 구민의 안전을 지키고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선제적이고 체계적인 대응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땅꺼짐 현상은 지하 토사가 유실되거나 지하수 변화 등으로 생긴 빈 공간(공동)이 지표면에 드러나는 사고로, 다양한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한다. 대표적인 원인으로는 상하수도관 손상, 집중호우, 굴착 및 터널 공사 등이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땅꺼짐 사고의 주요 원인은 ▲하수관 손상(45.5%) ▲되메우기 불량(18.0%) ▲굴착공사 부실(9.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GPR 레이더로 도로 아래 위험 요소 선제 탐지”

 

구는 ‘노면 하부 공동조사용역’을 통해 매년 도로 아래의 보이지 않는 위험 요소를 GPR(지표투과 레이더)로 정밀 탐사하고 있다. 5개년 계획에 따라 구 전역을 대상으로 사각지대 없이 진행되며, 위험 요소가 발견되면 즉시 복구 조치를 시행하고 있다.

 

지난 2년간 약 216㎞에 대한 조사를 통해 총 22곳에서 공동을 발견했고, 신속한 보수작업을 완료했다. 특히 지난해 9월 갈월동 남영삼거리 인근에서는 직경 0.4m, 깊이 1m의 공동을 사전에 발견하고 긴급 보수를 실시해 사고를 예방한 바 있다. 올해는 총 87㎞의 구간을 대상으로 공동탐사를 실시하며, 5월 초부터 본격적인 조사가 시작될 예정이다.

 

◈ 30년 이상 된 노후 하수관로 집중 정비

 

용산구 전체 하수관로(373km) 중 65%인 244km가 30년 이상 된 노후 관로이며, 50년 이상 된 구간도 약 49.6%에 달한다. 이에 따라 구는 노후 하수시설 정비를 중점 추진 중이다. 최근 5년간 총 897억 원을 투입해 75km를 정비했으며, 올해도 157억 원을 들여 11.2km를 추가 정비할 계획이다.

 

특히 올해 3월에는 8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지역 내 30년 이상 된 노후 하수관로 110km와 도로상 하수맨홀 9799곳에 대한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있다.

 

노후 하수관로 안전점검은 폐쇄회로텔레비전(CCTV) 조사용역을 실시해 시설물의 구조적 안전성과 결함 등을 조사·평가하고 유지 관리방안을 마련한다. CCTV를 활용해 ▲관 파손 ▲관 이격 ▲다른 지장물 관통 여부 등을 점검한다.

 

하수맨홀은 정밀안전점검을 통해 상태에 따라 4단계로 등급을 부여하고, 점검 결과는 데이터로 체계적으로 관리해 유지·보수 속도를 높일 방침이다.

 

점검 결과에 따라 긴급 보수가 필요한 구간은 즉시 보수하고, 서울시와 협의를 통해 복구비를 지원받아 신속하게 정비할 계획이다.

 

◈ 지하개발 사업장 및 대형 공사현장도 철저히 관리

 

구는 관내 총 32개소의 지하개발 사업장에 대해 지하안전영향평가 이행 여부를 점검하고 있으며, 주변 도로와 지하 시설물에 대한 지반 탐사를 병행해 지반침하를 예방하고 있다. 대형 굴착공사가 진행되는 현장에 대해서도 정기적인 안전 점검과 지반 탐사를 통해 침하 사고 예방에 힘쓰고 있다.

 

구 관계자는 “올해 땅꺼짐 사고 대응을 위한 예산으로 총 70억 원을 확보했다”라며, 위험 지역에 대한 주기적인 순찰과 선제적인 조치로 신속하게 대응하겠다”라고 전했다.

 

박희영 용산구청장은 “땅꺼짐은 눈에 보이지 않는 위협이지만, 사전 대응과 철저한 관리로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라며 “앞으로도 구민들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도시 환경을 만들기 위해 모든 행정 역량을 집중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