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30 (수)

  • 맑음동두천 9.1℃
  • 구름많음강릉 18.6℃
  • 맑음서울 12.7℃
  • 맑음대전 12.6℃
  • 맑음대구 14.7℃
  • 맑음울산 10.8℃
  • 맑음광주 14.3℃
  • 맑음부산 12.9℃
  • 맑음고창 8.7℃
  • 맑음제주 13.6℃
  • 맑음강화 8.7℃
  • 맑음보은 8.5℃
  • 맑음금산 9.2℃
  • 맑음강진군 9.8℃
  • 맑음경주시 11.2℃
  • 맑음거제 11.8℃
기상청 제공

강원

춘천시, 싱크홀 선제 대응…지하시설물 전면 점검 돌입

상수도·하수도 노후관로 정비 박차…대형공사장·지하차도 특별점검

 

브릿지저널 윤나영 기자 | 춘천시가 시민 안전을 위협하는 싱크홀(지반침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지하시설물 전반에 대한 대대적인 안전관리 대책을 추진한다.

 

시는 최근 서울과 부산 등에서 발생한 대형 싱크홀 사고와 관련해, 도심지 지하시설물과 지하굴착공사 현장에 대한 특별 안전대책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시민 불안을 해소하고 사전 예방 중심의 안전관리를 강화하기 위한 선제적 대응이다.

 

최근 5년간 춘천시 내에서는 총 13건의 소규모 싱크홀이 발생했으며, 주요 원인은 도로 굴착공사 중 흙막이·차수 부실, 노후 상·하수도관 균열 및 누수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시가 관리하는 상수도관(총 1,760㎞) 중 278㎞(15.8%), 하수도관(총 1,318㎞) 중 535㎞(40.6%)가 30년 이상 된 노후관으로 집계돼 관리 강화가 시급한 상황이다.

 

시는 이에 따라 상수도·하수도 노후관로 정비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 중이다.

 

상수도는 2020년부터 2025년까지 552억 원을 투입해 32.5㎞를 정비하고 있으며, 매년 30억 원의 자체예산을 들여 추가 정비를 이어간다.

 

하수도는 2024년까지 1차 국비사업으로 19.2㎞를 정비 완료했으며, 2026년부터 2029년까지 534억 원을 투입해 도심 노후관로를 집중 정비할 계획이다. 위험 구간은 시 자체 예산을 통해 즉시 보완한다.

 

오는 5월부터는 굴착 깊이 10m 이상 대형공사장 12곳, 도심 상수도 11개 구간, 하수도 GPR(지표투과 레이더) 탐사 20개 구간, 지하도상가와 지하차도 등 시민 이용시설에 대한 특별 안전점검도 본격적으로 실시된다.

 

전기·통신 등 지하시설물 관리 기관에도 자체 점검 협조를 요청했다.

 

생활 밀착형 감시체계도 가동된다.

 

안전보안관과 ‘운수 파수꾼’으로 위촉된 버스·택시 종사자를 통해 상시 예찰을 강화하고, 시 홈페이지·민원콜센터·봄내소식지를 통해 시민들이 쉽게 싱크홀을 신고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신고 시에는 재난안전·도로·상하수도 등 관련 부서가 협업해 1시간 이내 현장 확인 및 응급조치, 빠른 복구를 시행한다.

 

한편 시는 ‘AI 도로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실증연구’가 2026년 7월 완료되는 대로 시스템을 전면 적용하고, 중장기적으로 GPR 장비 도입도 적극 검토해 도로 지반 상태에 대한 실시간 점검을 강화할 방침이다.

 

육동한 춘천시장은 “지반침하 사고로부터 시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예방 중심의 선제적 관리체계를 구축하겠다”며 “지하시설물의 안전점검과 정비를 병행하여 사고 없는 안전도시 춘천을 만들겠다”고 밝혔다.